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아이폰

아이폰에 들어갈 차세대 칩셋 A17바이오닉 칩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IT-스폰남 2023. 5. 25.
반응형

A17바이오닉 칩셋

애플의 A 시리즈 칩은 매년 발전하고 있으며, TSMC의 3nm 제조 공정을 활용한 A17 칩은 더 나은 성능과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전 몇 년 동안 애플은 자체적으로 설계한 칩을 사용하여 아이폰의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이러한 경향을 고려하고 현재까지 알려진 방향과 목표를 살펴보면, A17 칩의 어느 정도 윤곽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TSMC의 3nm 제조 공정은 트랜지스터 밀도를 높여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A17 칩은 더 빠른 속도와 더 큰 처리 능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앱 실행 속도의 개선, 멀티태스킹의 원활한 수행, 그래픽 처리의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현저한 성능 향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기능 강화

애플은 A 시리즈 칩에서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진 촬영 및 편집, 음성 인식, 언어 번역 등 다양한 기능에서 혁신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A17 칩에서는 AI 및 머신러닝을 위한 개선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에너지 효율성도 A 시리즈 칩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애플은 낮은 전력 소모와 동시에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칩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A17 칩은 더 나은 배터리 수명과 전력 효율성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해 볼 때, 애플의 A17 칩은 이전 모델보다 향상된 성능, 기능,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기능, 그리고 에너지 효율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정확한 세부 사항과 기능은 애플의 발표를 기다려야만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올해에도 어김없는 급나누기

현재로서는 애플이 A 시리즈 칩을 프로 모델에 우선 탑재하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A16 칩이 아이폰 14 프로에만 탑재되었고, 일반 아이폰 14에는 A15 칩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번 해에도 비슷한 패턴이 반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신의 A17 칩은 아이폰 15 프로 라인업 (아이폰 15 프로 및 아이폰 15 프로 맥스 또는 루머에 따르면 아이폰 15 울트라)에 탑재될 것이며, 일반 아이폰 15에는 A16 칩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패턴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기능과 품질이 정체되고 애플의 칩과 안드로이드 칩이 유사해지는 상황에서는 변화를 강요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애플에게 비용 절감의 이점을 제공하고, 일반 모델과 프로 모델 간의 차이를 강조하여 사용자가 더 비싼 제품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애플은 언제든지 전략을 변경할 수 있으며, 미래에는 다른 패턴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시장 동향과 경쟁 상황에 따라 애플은 칩의 배치 및 다른 기술적 요소에 대한 결정을 내릴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애플의 A 시리즈 칩의 배치에 대한 확실한 예측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반응형

 

공정의 변화로 인한 성능향상

 A14, A15, A16 칩은 모두 TSMC의 5nm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그 동안 발전은 있었지만 다음 공정 노드로의 도약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TSMC가 3nm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A17과 같이 대규모로 양산되는 칩은 새로운 공정의 이점을 확실히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nm 공정을 통해 애플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많습니다. A16 칩이 약 16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있다면, A17은 200억 개 이상, 아마도 240억 개까지 증가할 것입니다. 3nm 공정은 전력 효율성도 크게 향상시킬 것입니다. 그러나 애플은 비슷한 속도로 비슷한 칩을 만들지 않을 것입니다. 최대 전력 소비량은 배터리 크기, 열 분산 기술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제한됩니다.

 

따라서 3nm 공정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는 것만으로는 배터리 수명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전체 전력 소비에서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부분은 아닙니다. 이 경우 칩의 전력 소비는 거의 동일할 것이며, 디스플레이와 무선 주파수가 전력 소비의 주요 요인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약간의 개선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대기 모드에서의 전력 소비량이 크게 개선될 것입니다. 3nm 공정으로 만들어지면서 대기 모드에서의 전력 소비가 감소할 것입니다.

 

 

 

새로운 아키텍처 적용?

 ARM은 2021년에 v9 아키텍처를 출시했고, 초기 예측에서는 A16 칩이 이 새로운 v9 명령어 세트를 지원하는 첫 번째 애플 칩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그러나 애플은 자체적으로 확장된 ARM v8.6을 지원하는 A16 칩을 출시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이미 애플의 설계와 ARM의 확장 기능을 통해 v9 아키텍처가 제공하는 성능상의 이점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스냅드래곤 8 1세대는 ARM v9를 지원하는 ARM Cortex-X2 코어를 탑재한 첫 번째 고급 스마트폰 CPU이지만, 애플의 A15 칩은 스냅드래곤 8 1세대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일부 주장에 따르면 ARM v9는 ARM v8에 비해 성능을 30% 향상시켰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주장은 ARM 자체 코어 설계에 해당하며 사용자 정의 확장을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애플은 다른 경쟁사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설계와 확장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A17의 CPU 성능이 30% 개선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A17에 사용되는 CPU 코어의 속도가 향상될 것은 거의 확실합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ARM v9 때문만이 아닌 명령어 세트, 분기 예측, 명령어 해독, 실행 단위, 캐시 구조와 크기, 클럭 속도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코어의 개수에 대해 보면 A11 Bionic 이후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온 효율 코어 4개와 성능 코어 2개의 구성을 넘어서는 이유가 크게 없습니다. 따라서 이 구성의 성능은 약 15% 정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긱벤치 싱글코어 점수

 

긱벤치 예상점수

최근 몇 년 동안의 CPU 성능 향상 폭을 기반으로 예측해본다면, Geekbench 5에서의 단일 코어 점수는 약 2,100에서 2,200 사이, 멀티 코어 점수는 약 6,000 초반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Geekbench 6가 최근 출시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을 위한 축적된 몇 년간의 벤치마크 데이터는 없지만, 단일 코어 점수는 2,800 이상, 멀티 코어 점수는 7,300 이상이 적절한 범위로 보입니다.

 

최근 유출된 정보에서는 싱글 코어 점수가 3,019점이고 멀티 코어 점수가 7,860점이라고 주장되었으나, 이는 근거가 없는 주장이므로 확실한 가정은 할 수 없습니다. 애플은 이전에 A14 칩에서 7nm 공정에서 5nm로 공정을 업그레이드했을 때에도 코어 점수가 예상보다 높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A17 칩의 성능도 예상보다 높을 수 있지만, 어떠한 주장에서 언급된 점수는 확실한 근거가 없으므로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실제 성능은 애플의 공식 발표나 벤치마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합니다.

 

긱벤치 멀티코어 점수

A17은 데스크톱과 맞먹는다?

A17의 예상 싱글 코어 점수는 라이젠 최신 하이엔드 데스크톱 CPU나 13세대 코어 i7 인텔 프로세서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멀티 코어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A17의 고성능 코어가 단 2개이며, 데스크톱 프로세서의 고성능 코어가 12개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A16 칩은 최상위 스냅드래곤 8 2세대를 탑재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보다 성능이 높았으므로 A17 칩으로 인해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 몇 년 동안의 경험을 통해 애플의 CPU 성능 향상이 꾸준히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키텍처가 크게 변화하거나 제조 공정이 크게 업그레이드되는 경우에는 싱글 코어와 멀티 코어 성능이 거의 직선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따라서 올해에도 비슷한 수준의 개선을 기대하는 것은 합리적인 추측입니다. 그러나 정확한 성능은 애플의 공식 발표나 벤치마크 결과를 기다려봐야 합니다.

반응형